콘텐츠로 건너뛰기

백세희 작가 별세, 장기기증으로 다섯 생명 살리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의 저자 백세희 작가가 2025년 10월 16일, 향년 35세로 세상을 떠났다. 생전 장기기증 서약에 따라 심장·폐·간·양쪽 신장을 기증해 다섯 명의 생명을 살리고 떠났다는 소식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남겼다.

목차

별세와 마지막 선택: 떠나는 순간까지 타인을 살리다

백세희 작가는 2025년 10월 16일, 경기도 고양시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별세했다. 생전 서약에 따라 심장·폐·간·양쪽 신장을 기증해 다섯 명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했다. 뇌사 상태에서도 타인을 향한 결심을 지킨 그의 마지막은, 이름 그대로 ‘진짜 위로’를 실천한 선택이었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가 남긴 위로

2018년 출간된 에세이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는 우울과 불안을 겪는 이들의 마음을 대변하며 “나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라는 안도감을 전했다. 자전적 기록을 넘어 사회가 감정의 병을 대하는 태도에 질문을 던졌고, 국내외에서 폭넓게 읽히며 100만 부 이상 판매 기록을 남겼다.

“살고 싶지 않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죽고 싶은 것도 아니다. 그냥… 지금 이 고통이 끝났으면 좋겠다.”

출판사 편집자에서 공감의 작가로

1990년 서울 출생. 동국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한 뒤 약 5년간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오랜 시간 기분부전장애(경도의 우울증)불안장애를 겪으며 치료와 글쓰기를 병행했고, 그 기록이 책으로 이어졌다. 유명세보다 “마음의 대화가 가능한 사회”를 꿈꾸며, 화려한 노출보다 진솔한 소통을 택했다.

남긴 문장과 메시지

그녀의 글과 강연은 “누군가의 ‘죽고 싶다’는 말이 SOS일 수 있다”며, 무심히 흘려듣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아픈 마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완벽하지 않은 하루를 견딜 수 있게 하는 문장들은 많은 독자들에게 지금도 삶의 언어가 되고 있다.

“나는 완벽하게 행복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오늘 하루를 견딜 수 있으면 그걸로 충분하다.”

장기기증으로 남긴 마지막 사랑

생전에는 마음의 생명을 살린 작가였고, 떠난 뒤에는 육체의 생명을 살린 사람이 되었다. 그녀의 심장은 다시 뛰고, 폐와 간, 신장은 새로운 몸에서 삶을 이어간다. 생명 나눔의 의미를 또렷하게 보여준 선택이었다.

프로필

  • 출생: 1990년, 서울특별시
  • 사망: 2025년 10월 16일 (향년 35세), 경기도 고양시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학력: 동국대학교 문예창작과 졸업
  • 데뷔: 2018년 에세이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백세희 #백세희작가 #죽고싶지만떡볶이는먹고싶어 #장기기증 #작가별세 #한국작가 #우울증 #불안장애 #정신건강 #공감작가 #위로의글 #힐링에세이 #생명나눔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다.” 오늘도 우리는 그 문장을 떠올리며, 그녀가 남긴 용기와 따뜻함 속에서 하루를 견딘다.

[백세희 작가의 책 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1~2권 세트, 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